▷ 석면에 장기간 폭로될 경우 15~30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(IungCancer), 악성중피종(mestheliome), 석면폐(asbostosis)등 근로자에게 치명적인 건강장해를 유발함
▷ 석면의 노출
▷ 석면노출의 인체영향
- 석면노출에 따른 인체 영향과 관련된 많은 정보는 작업장에서 석면에 노출된 근로자와 관련된 연구에서 비롯되었다.
-석면노출 사업장 근로자는 일반시민들이나, 석면이 함유된 건축물에서 근무 하는 근로자들보다 높은 농도의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.
-석면노출 환경농도가 높은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석면과 관련된 질병 발생률이 높을것으로 추정된다.
-이러한 현상을 양-반응효과(dose-response effect)라고 한다.
또한, 엄밀히 평가하자면 석면이 함유된 건축물에서 근무하는 사람이 일반시민보다 석면관련 질병발생율도 높다고 할 수 있다.
▷ 석면의 침투경로
▷ 식작용
▷ 건강상 영향
-보통 직경이 2~3㎛이하여야 thoracic region에 도달
-alveolar region은 그 이하
-석면관련 질병과 길이, 직경과는 매우 밀접한 관계
-보통 길이가 5㎛이상, 직경이 3㎛이하 불용성 섬유가 관여됨
질병명 | 내용 |
폐암 | 석면섬유가 폐에 들어가 폐장의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가 이상 중식하는 악성종양 |
악성중피종 | 흉망, 복막, 심막등의 체강장막감을 덮고 있는 중피표면 조직에 발생하는 종양 |
석면폐 | 석면섬유가 폐에 들어가 폐장의 침착에 의한 섬유화이며, 흉막의 섬유화는 무관함 |
기타 부위의 암 - 식도, GI등 |
-유해성 정도의 크기는 청석면, 갈석면, 백석면의 순서임
-석면의 인체 유해성 정도는 석면의 크기, 체내지속성, 양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, 섬유형태가 가늘고 날카롭고 뻣뻣한 청석면은 체내보존성이 높아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가장 높음
-최근5년간 석면으로 인한 직업병자는 총46명이며 질병별로는 폐암28명, 악성중피종13명, 기타(석면폐 등) 5명임.
※ 출처 : 환경부 석면관리 종합정보망